[Github] 기본 사용법 및 Git&Linux 명령어
깃허브의 사용에 앞서 Git 을 설치와 깃허브 로그인 되어 있음을 가정한다. 먼저 깃허브에서 사용되는 단어부터 알아보면 커밋 : 파일을 추가하거나 변경내용을 저장소에 저장 푸쉬 : 파일을 추가하거나 변경내용을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 여기서 저장소에도 2가지로 나뉜다. 로컬 저장소 : 보통 자신의 컴퓨터 내 저장소 원격 저장소 : 서버 등 네트워크에 올려진 저장소, 여기선 Github내 저장소를 의미 보통 로컬 저장소에서 작업을 수행 후 원격 저장소로 업로드하면서 작업을 마친다. 즉 커밋을 한 후 푸쉬를 한다 브랜치 : 수행하는 프로젝트의 여러 버전을 병렬적인 유지 보수를 위하여 사용 인덱스 : 저장소에 커밋 할 준비를 하기 위해 변경내용을 임시로 저장할 위치 각 파일들을 커밋을 하면 인덱스에 임시 위치하게..
짤막한 지식
2022. 7. 1. 20:01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이미지최적화
- Tailwind CSS
- 깃허브
- FE
- no found
- 프론트엔드 성능
- 개발자 회고
- 로딩성능
- 국비지원
- 성능 개선
- 패스트캠퍼스
- Vercel
- Not Working
- 부트캠프
- 리뷰
- JavaScript
- 깃허브 사용법
- Github Actions
- 국비지원취업
- 프론트엔드개발자
- ci/cd
- FE 주니어
- next 14
- 모노레포
- kpt
- 사이드프로젝트
- netlify
- 인프콘 2023
- 성능 측정
- RAR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